맨위로가기

제3차 이손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차 이손초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군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을 상대로 벌인 전투이다. 이탈리아군은 제1차 및 제2차 이손초 전투의 실패 이후 전력을 재정비하여, 보베츠, 톨민을 점령하고 고리치아까지 진출하려 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은 소차 강을 따라 병력을 넓게 배치하여 공격의 집중도를 높이지 못했고, 오스트리아군은 스베토자르 보로예비치의 지휘 아래 효과적으로 방어했다. 이탈리아군은 초기 공세를 통해 카날오브소치 근처의 피아베와 바니시체 고원까지 진격했지만, 산 미켈레 산과 크라스 고원에서의 격전 끝에 공세가 저지되었다. 결국 이탈리아군은 사보틴을 잠시 점령했을 뿐, 전투는 2주간의 소강 상태를 거쳐 종료되었다. 이 전투는 루이지 카도르나의 지휘 능력에 대한 비판을 낳았고, 이후 제4차 이손초 전투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10월 - 조선물산공진회
    조선물산공진회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한일병합 5주년을 기념하여 경복궁에서 개최한 박람회로, 조선 산업 발달 홍보와 식민 통치 성과 과시를 목적으로 했으나, 경복궁 훼손으로 일제의 문화재 훼손 및 식민 통치 정당화 시도라는 비판을 받았다.
  •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 제2차 이손초 전투
    제2차 이손초 전투는 제1차 전투 실패 후 이탈리아군이 오스트리아군 전선에 가한 공격으로, 전쟁 물자 부족으로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위를 살리지 못하고 3주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종료되었다.
  •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 제1차 이손초 전투
    1915년 5월 이손초 강 일대에서 이탈리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에 벌어진 제1차 이손초 전투는 이탈리아군의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군의 방어선과 불충분한 포병 지원으로 소모적인 참호전의 시작을 알렸다.
제3차 이손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제1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전선
기간1915년 10월 18일 – 1915년 11월 3일
위치소차 강, 서부 슬로베니아
결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승리, 이탈리아 공세 실패
교전 세력
교전국 1이탈리아 왕국
교전국 2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지휘관
이탈리아 왕국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 육군 참모총장)
피에트로 프루고니 (제2군 사령관)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디 사보이아 (제3군 사령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프리드리히 대공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최고 사령관)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총참모장)
오스트리아의 오이겐 대공 (남서부 전선 사령관)
스베토자르 보로에비치 폰 보이나 (제5군 사령관)
병력 규모
이탈리아 왕국보병 338개 대대
기병 130개 대대
포 1,250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137 + 47개 대대
포 604문
사상자 규모
이탈리아 왕국67,008–80,000명
10,733–20,000명 전사
44,290–60,000명 부상
11,985명 실종 또는 포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41,847명
8,228명 전사
26,418명 부상
7,201명 실종 또는 포로
시각 자료
1915-1917년 이탈리아 전선
1915년 6월부터 1917년 9월까지 11번의 이손초 전투

2. 배경

제1차, 제2차 이손초 전투에서 입은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이탈리아군은 두 달 반 동안 휴식을 취했다. 총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는 포병 운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포를 1,200여 문 전선에 집중 배치했다.[1] 이탈리아군은 아드리안 헬멧을 지급받았지만, 전반적으로 효과는 미미했다.[2]

이탈리아군의 주요 목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교두보인 보베츠(이탈리아명 피아초)와 톨민을 점령하고, 가능하다면 요새 도시 고리치아까지 진출하는 것이었다. 특히 사보틴 산(이탈리아어: Monte Sabotino)과 산 미켈레 산(슬로베니아어: Debela griža)이 공격 목표였다.

루이지 카도르나는 소차 강(이탈리아어: Isonzo)을 따라 병력을 길게 늘어뜨려 놓아, 전선의 어느 부분에서도 명확한 중점을 형성할 수 없었다. 반면 오스트리아군은 필요한 때에 화력을 전선 어디라도 집중할 수 있었다.

2. 1. 전력 재정비

제1차, 제2차 이손초 전투에서 입은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이탈리아군은 두 달 반 동안 휴식을 취했다. 총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는 포병 운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포를 1,200여 문 전선에 집중 배치했다.[1] 이탈리아군은 아드리안 헬멧을 지급받았지만, 전반적으로 효과는 미미했다.[2]

2. 2. 이탈리아군의 목표

이탈리아군의 주요 목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교두보인 보베츠(이탈리아명 피아초)와 톨민을 점령하고, 가능하다면 요새 도시 고리치아까지 진출하는 것이었다. 특히 사보틴 산(이탈리아어: Monte Sabotino)과 산 미켈레 산(슬로베니아어: Debela griža)이 공격 목표였다. 이탈리아 육군 총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는 포병의 중요성을 깨닫고 포병 전력을 1,250문으로 늘렸다.

2. 3. 전술적 문제점

루이지 카도르나는 소차 강(이탈리아어: Isonzo)을 따라 병력을 길게 늘어뜨려 놓아, 전선의 어느 부분에서도 명확한 중점을 형성할 수 없었다. 반면 오스트리아군은 필요한 때에 화력을 전선 어디라도 집중할 수 있었다.

3. 전투 경과

제3차 이손초 전투는 대규모 포격 지원을 받은 이탈리아군의 공세로 시작되었다. 이탈리아군은 카날오브소치 근처 피아베와 바니시체 고원 남쪽 면까지 진격했고, 이전에 점령한 산 미켈레 산에서 고리치아를 방어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을 측면 공격했다.[12][13]

산 미켈레 산과 크라스 고원은 이탈리아 제3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증원군 간 격전지였으며, 양측 모두 큰 피해를 보았다. 보로에비치는 제한된 지역에도 불구, 적절한 증원군 투입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이 거점을 지키도록 했다.[12][13]

결과적으로 이탈리아군의 공세는 저지되었고, 전투는 2주간 소강상태로 종료되었다.[12][13]

3. 1. 이탈리아군의 초기 공세

대규모 포격 지원을 받은 이탈리아군은 카날오브소치 근처 피아베와 바니시체 고원 남쪽 면까지 진격했다. 이전에 점령한 산 미켈레 산의 부대는 고리치아를 방어하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을 측면 공격하였다.[12][13] 산 미켈레 산과 크라스 고원은 제3군의 맹공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증원군 사이에 벌어진 혈전의 무대가 되었고, 양측 모두 중대한 손실을 입었다. 보로에비치는 한정된 지역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증원 투입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이 큰 피해에도 불구하고 거점을 지켜낼 수 있도록 하였다.[12][13]

3. 2. 산 미켈레 산과 크라스 고원 전투

이탈리아군카날오브소치 근처의 피아베와 바니시체 고원 남쪽 면까지 진격하여, 이전에 점령한 산 미켈레 산에서 고리치아를 방어하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측면 공격하였다. 산 미켈레 산과 크라스 고원은 제3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증원군 사이에 벌어진 혈전의 무대가 되었고, 양측 모두 중대한 손실을 입었다.[12][13]

보로에비치는 한정된 지역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증원 투입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큰 피해에도 불구하고 거점을 지켜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이탈리아군의 공세는 저지되었고, 전투는 2주간의 소강상태를 끝으로 종료되었다.[12][13]

3. 3. 전투 결과

이탈리아군의 공세는 저지되었고, 전투는 2주간의 소강상태를 끝으로 종료되었다.[12][13] 이탈리아 제2군은 잠시 동안 사보틴을 점령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제3군은 산 미켈레 산에 접근할 수 있었지만, 측면을 우회하려다 기관총 사격을 받았다.[7][8] 양측은 비슷한 비율의 사상자를 냈다.[7]

4. 루이지 카도르나에 대한 비판

루이지 카도르나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군의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의 형편없는 지휘 능력은 많은 탈영을 초래했다는 비판이 있다.[9] 그는 제3차 이손초 전투에서야 비로소 병력 규모와 화력을 고려했다.[9]

좁은 지역에 공격이 집중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수비군은 새로운 공격을 격퇴할 수 있었다.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이탈리아군의 병력 우위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8]

5. 전투의 영향

카도르나는 일주일 뒤 다시 공격하기로 결정하고, 제4차 이손초 전투를 시작했다. 하지만 이탈리아군은 제6차 이손초 전투에서야 비로소 전진하여 고리치아에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었다.[3]

6. 이손초 강의 다른 전투

전투날짜
제1차 이손초 전투1915년 6월 23일 - 7월 7일
제2차 이손초 전투1915년 7월 18일 - 8월 3일
제4차 이손초 전투1915년 11월 10일 - 12월 2일
제5차 이손초 전투1916년 3월 9일 - 3월 17일
제6차 이손초 전투1916년 8월 6일 - 8월 17일
제7차 이손초 전투1916년 9월 14일 - 9월 17일
제8차 이손초 전투1916년 10월 10일 - 10월 12일
제9차 이손초 전투1916년 11월 1일 - 11월 4일
제10차 이손초 전투1917년 3월 12일 - 6월 8일
제11차 이손초 전투1917년 8월 19일 - 9월 12일
카포레토 전투 (제12차 이손초 전투)1917년 10월 24일 - 11월 9일


참조

[1] 서적 Isonzo: The Forgotten Sacrifice of the Great War
[2] 서적 The First World War: A complete History Квадрига
[3] 웹사이트 Third Battle of the Isonzo https://www.history.[...] 2019-01-26
[4] 웹사이트 Third battle of the Isonzo, 18 October-3 November 1915 http://www.historyof[...] 2019-01-26
[5] 웹사이트 FirstWorldWar.Com: The Battles of the Isonzo, 1915-17 http://www.firstworl[...]
[6] 웹사이트 WorldWar1.com: Isonzo 1915 http://www.worldwar1[...]
[7] 웹사이트 Third battle of the Isonzo, 18 October-3 November 1915 http://www.historyof[...] 2019-01-26
[8] 웹사이트 The First Four Battles of the Isonzo: Italy Enters World War One https://www.warhisto[...] 2019-01-26
[9] 웹사이트 Isonzo, Battles of {{!}}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19-01-26
[10] 웹사이트 FirstWorldWar.Com: The Battles of the Isonzo, 1915-17 http://www.firstworl[...]
[11] 웹사이트 WorldWar1.com: Isonzo 1915 http://www.worldwar1[...]
[12] 웹사이트 FirstWorldWar.Com: The Battles of the Isonzo, 1915-17 http://www.firstworl[...]
[13] 웹사이트 WorldWar1.com: Isonzo 1915 http://www.worldwar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